[전시] 마지막 출구_가방, 텍스트, 사이트 프로젝트<무빙트리엔날레 메이드인부산>의 전시 프로그램은 근대 부산의 역사와 삶의 흔적을 담고 있는 원도심을 배경으로 펼쳐지며, 연안여객터미널과 유휴공간에서 여러 장르의미술과 만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람객은 미술관이 아닌, 도심의 여러 건축물과 골목길을 거닐며 예술작품만이 아니라 ‘지역’과 그 속에서 ‘거주하는’ 우리네 삶의 모습들을 직접 마주하게 된다. ‘가방, 텍스트, 사이트 프로젝트’로 구성된 ‘마지막 출구’ 전시는 그동안 예술 내부에서 논의되었던 영웅적이고 거대한 미술담론의 시선에서 벗어나, 변화하는 사회의 다양한가치와 현상, 특히 지역적이고 개별적인 사례들로 관심을 돌려 우리의 삶과 예술을 살피려는 의미로 기획되었다. 먼저 ‘가방 프로젝트’의 ‘가방’은 내밀하고 솔직한 개인의 삶과 생각을 담는 장치로 작동된다. 이는 예술가로서뿐만 아니라 불확실하고 모순적인오늘을 살아가는 개인의 삶에서 제기되는 문제와 생각들을 ‘가방’이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에 담으며 관객과 나눈다. 여객선이 오가는 전시 공간과항구도시의 지정학적 특성을 살린 ‘가방 프로젝트’는, 경쟁적으로 큰 목소리를 내려는 과시적인 대규모 미술 전시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이기도 하다. 사적인 공간을 드러내는 가방 작업들은 미학적 관점만이 아니라 일상의 증거를 확인하는 장치가 될 것이다.‘텍스트 프로젝트’는 큐레이터, 비평가, 작가들에게 오늘날 미술이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반성과 향방, 대규모 전시에 대한 단상 등을 듣고 시민들과 전문가들이 의견을 나누는 프로젝트이다. ‘사이트 프로젝트’는 근대건축물, 유휴공간 그리고 택시에 이르기까지 도심의 다양한 일상공간에서 진행되는 장소 특정적 프로젝트이다. 이들은 개별 ‘사이트’의 특성을 살린 설치, 영상, 그래피티 그리고 시민참여 프로젝트로 지역의 공간과 일상 사이의 새로운 접점을 모색하는 시도가 될 것이다. 이 전시는 한번의 ‘쇼(show)’로 끝나기보다는, 다른 지역을 거치며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 그곳의 내용을 더해 또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지속 가능한 예술의 항해를 시작할 것이다. 작은가방 속에 무엇이 담길지 알 수 없지만, 일상 속에서 만나고 또 이동하는 미술이,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 지역과 지역, 예술과 삶을 연결하는 하나의 작은 방법적 시도로읽히기를 기대한다. • 전시감독 김성연 |
가방 프로젝트 Bag Project | 텍스트 프로젝트 Text Project | 사이트 프로젝트 Site Project | |||
[Exhibition] Last Exit_Bag, Text, Site Project• Go to ‘Exhibition Floor Plan’ <Moving Triennale Made in Busan>’s exhibitions institutes various genres of art from old town in the city and port terminal which represents modern Busan’s history. Viewers will encounter art not in museum but in city areas, between buildings, in back streets,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e not only the exhibition itself but also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Last Exit’ is consisted of ‘Bag, Text, Site Project’. It escapes from the big and heroic idea of today’s fine arts and focuses on ever‐changing society’s value, especially for those local and individual looking closely at our lives and arts. In ‘Bag project’, ‘bag’ works as a tool to store private and honest thoughts. Not only artists, but also anyone in today which is uncertain and contradictory can put their private thoughts and share problems in the ‘bag’. Reviving the geopolitical feature of the port city where ferries come and go, ‘Bag project’ is a counter measure against large‐scale art exhibition. Revealing private spaces, works of ‘bag project’ will be a tool to show everyday life, and not just in aesthetic point of view. ‘Text project’ is a project where fine arts creators, curators, critics, writers discuss current issues of today’s arts, directions for the future, share opinions with audiences. ‘Site project’ is a site specific project where it takes place in various everyday life sites such as old buildings, or in taxis. The goal is to specify each ‘sites’ characteristics, and find connection between project area and everyday life through video, installation and graffiti works. These exhibitions will not just be a onetime ‘show,’ but rather be a lasting journey of arts moving to other areas and absorbing more contents as they go. We never know what will end up in the little ‘bag’, but hope that they connect individuals to individuals, individuals to society, regions to regions and arts to life. • Visual Arts Director Kim, Seong‐youn |
'EXHIBI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국제문화예술교육워크숍_천국으로가는 (0) | 2014.10.06 |
---|---|
2014창원조각비엔날레 (0) | 2014.10.06 |
자립 혹은 침투 동덕여대 큐레이터학과 제14회 졸업기획展 2014_0611 ▶ 2014_0616 (0) | 2014.06.13 |
2013 화성 공공미술 조각공모전 아카이브 전시-화(華)화(畫)화(和) 프로젝트 (0) | 2014.01.15 |
The Breath of Fresh-유망작가 9인의 신작모음전(경기도 미술관) (0) | 2013.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