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s My Life
2012년 12월 12일
참여학생 12명
참여예술가 김월식 곽동열 박영균 이아람
모니터링 이아람
아트 이즈 마이 라이프의 전 과정 중 마지막을 향하고 있는 시기에 서 한주 한주가 귀한 시간으로 다가오는데도 불구하고 갑작스러운 폭설로 인하여 우리는 지난 시간을 함께하지 못했다. 설상가상으로 선거와 기말고사라는 난관으로 인하여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둔 상황에서 얼마 남지 않은 시간에 다소 긴장하며 초초해 하는 우리자신을 발견한다. 오늘은 전부터 진행했던 자서전 작업을 이어 진행하기로 하고 남은 일정을 조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선 전시의 목적과 개요, 프로젝트의 과정이 설치될 전시장 도면을 함께 공유하였는데 전시장으로 사용될 공간이 우리가 상식적으로 알고 있었던 화이트 큐브가 아닌 점에 모두가 우려를 나타낸다. 김월식 작가는 전시의 성격상 고등학생들이 현장에서 살아가는 날것의 그대로를 보여줄 수 있는 표면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다듬어지지 않은 나무 원목 그대로의 풍경으로 전시장이 계획되었음을 알렸다. 그리고 전면에는 칠판으로 이용하여 우리의 생각을 공유하는 알림장으로써 활용될 것이며, 남은 벽면에는 개인의 자서전 작업들과 우리가 이야기했었던 프로젝트를 영상으로 보게 될 것이라는 계획도 설명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우리가 그동안 진행하고 함께했던 고민의 과정을 남들과 어떻게 공유할 수 있는가를 모두가 함께 논의하는 소통의 장으로써의 전시를 만들어 보자는 제안을 함께한다. 또한 부족한 시간 속에 얼기설기 완성된 우리의 작업을 보여주는 방식의 작업보다는 진정성 있는 태도와 열심히 하는 모습으로 우리를 보여주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 활동들을 기반으로 하여, 우선 오늘 어떻게 작업을 진행할 것인지 자신의 작업 기획과 목적에 대한 그 근본적 질문들을 글로 풀어본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우리의 작업이 결과물만이 보이는 것으로 생각하지 말고 항상 변화되고 다양한 과정의 이야기가 함께 모여 만들어질 가능성과 잠재적 가치들을 기대한다.
'PROJECT > 2012-Art is m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t is my life 2012년 12월 26일 (0) | 2013.01.11 |
---|---|
아방과후르드 Art is my life-1128 (0) | 2012.12.14 |
기억의 시작 (0) | 2012.12.07 |
Son of Himalayan Sange-11월 14일 Art is my life 아방과후르드 (0) | 2012.11.26 |
2012년 11월 8일 ‘Art is my Life’ (0) | 2012.11.10 |